천안시의회 제281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서 복아영·김철환·엄소영·유영채 의원 5분발언

한광수 기자 | 입력 : 2025/07/18 [11:20]

  © 왼쪽 위부터 복아영, 김철환, 엄소영, 유영채 의원 뉴스파고

 

[뉴스파고=한광수 기자] 18일 열린 천안시의회 제281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복아영, 김철환, 엄소영, 유영채 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시민의 삶과 직결된 다양한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 행정의 전환적 대응을 촉구했다.

 

▲ 복아영 의원  © 뉴스파고

 

복아영 의원 “반려견 순찰대 도입해 안전과 공동체의식 높이자”

 

복아영 의원은 ‘반려견 순찰대’ 도입을 제안했다. 이는 반려견과 산책하며 공공시설이나 위험 요소를 관찰하고 신고하는 시민참여형 생활치안 모델로, 이미 서울 강동구를 포함한 전국 여러 지자체에서 운영 중이다.

 

복 의원은 "현대 사회는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여기는 '펫팸족'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며, "천안시도 예외는 아니다. 단순한 동물보호 정책을 넘어 반려동물과 함께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반려견 순찰대는 시민참여, 지역 안전, 반려문화 확산까지 세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정책 모델"이라며, "단순한 산책이 '순찰'이라는 공공활동으로 확장되면서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난다"고 전했다.

 

복 의원은 “천안도 시범사업 도입 후 조례를 통해 제도화해야 한다”며, “반려동물과의 일상이 지역 안전망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김철환 의원  © 뉴스파고

 

김철환 의원 “AI 실종자 추적 시스템, 천안도 도입해야”

 

김철환 의원은 치매노인, 아동 등의 실종자 조기발견을 위한 대응체계 개선을 촉구했다.

 

그는 “AI 기반 CCTV 분석 시스템을 통해 골든타임 내 실종자 탐색이 가능하다”며, 실시간 추적 시스템의 도입과 함께 실종 대응 전담조직 지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기술만으로는 부족하다. 행정의 책임성과 협업체계가 동시에 정비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 엄소영 의원  © 뉴스파고

 

엄소영 의원 “청각장애인 위한 실질적 정보접근 보장 필요”

 

엄소영 의원은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권 보장을 위한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

 

천안시에 등록된 청각장애인은 4300여 명이지만 이를 지원할 수어통역사는 단 6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엄 의원은 “장시간 대기 끝에 민원을 포기하는 상황도 발생한다”며, 수어통역사 확충, 협의체 구성, 시각자료·쉬운 글쓰기 확대 등 다각도의 정보 접근 방안을 촉구했다.

 

▲ 유영채 의원  © 뉴스파고

 

유영채 의원 “농촌 빈집을 자산으로… 정비에서 활용까지 전략 세워야”

 

유영채 의원은 천안시의 ‘빈집’ 문제를 본격적으로 다뤘다.

 

그는 “천안시에는 약 470호의 빈집이 존재하고, 절반 이상이 농촌지역에 몰려 있다”며, 단순한 정비가 아닌 전략적 활용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유 의원은 △농촌 빈집문제에 특화된 조례 개정 △맞춤형 정비 전략 수립 △빈집을 주거복지·공익공간으로 전환하는 창의적 활용 등을 제안하면서 “빈집은 공동체 해체의 징후이자, 재생의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천안시가 적극적으로 제도적 기반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